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7 |
8 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
15 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
22 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29 | 30 | 31 |
- Connectives
- fol
- conjunction
- atomic sentence
- terms
- substitution
- functional symbol
- identity elimination
- Validity
- first order logic
- formal proof
- individual constants
- 1차 논리
- 논리학
- negation
- transitivity of identity
- disjunction
- soundness
- arguments
- identity introduction
- 원자 명제
- reiteration
- truth table
- 개별 상수
- predicate symbols
- Today
- Total
컴공생의 공부LOG
[논리학] 4. The Logic of Boolean Connectives 본문
Logical Truth
Logical Consequence
- 어떤 전제 𝑃1,⋯,𝑃𝑛 로 이루어진 집합에 대하여, 전제들이 모두 참이라고 할 때, 결론 𝑆가 반드시 참인 경우
Logical Truth
- 어떤 경우는 전제에 상관없이 또는 전제 자체가 없어도 참인 결론이 있을 수 있음
- 필연적으로 참인 문장 예시 : a=a
Logical Possibility & Logical Necessity
Logical Possibility
- 어떤 논리적 상황을 바탕으로 했을 때, 참이 될 수도 있는 경우
Logically possible 예시 문장
ex) It is not physically possible to go faster than the speed of light.
Logically possible 이 아닌 문장
ex) An object is not identical to itself. (identity의 뜻 자체를 위배)
Logical necessity
- 모든 논리적 환경에서 항상 참인 경우
Logically possible vs. TW-possible
만약 b가 구(sphere) 또는 정십이면체(icosahedron)이면 가능
-> 그러나 Tarski’s World 에서는 불가능 (impossible)
-> (Tetrahedron, cube, dodecahedron 중에서만 가능)
TW-possible
: Tarski’s World 내에서 논리적으로 가능한 경우를 말함
※ 차이점
- 앞서 logical possible의 예시에서는 물리적 세계에서 논리적 가능성을 봄
- TW-possible 에서는 Tarski’s World에서 논리적 가능성
=> 따라서, 모든 TW-possible 은 logical possible (역은 성립 하지 않을 수 있음)
Truth Table Method
: 어떤 문장이 논리적으로 참이 될 수도 있음을 확실하게 보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
※ 테이블 그리는 관례
ex) 세 개의 atomic sentence 라면 8개의 줄이 필요
1. 가장 왼쪽 atomic sentence에서 위 절반은 T, 아래 절반은 F
2. 그 다음 atomic sentence에서 절반씩 T 채우고, 나머지는 F 채움
3. 반복
4. 관례에 따르면 T와 F는 항상 동일한 방법으로 채워짐
※ Atomic sentence와 complex sentence 사이에는 두 줄로 구분
1. Reference column 을 모두 채웠다면 가장 안쪽(innermost) connective부터 계산
-> 여기서는 negation에 해당
-> reference column의 Cube(a) 값을 보고 계산
2. 중간 단계의 connective 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main connective 계산
-> 여기서 main connective는 disjunction에 해당
※ connectives에서 T,F를 채우는 순서
- 괄호 먼저
- ¬ -> ∧ -> ∨
- 왼쪽에서 오른쪽
- 최종적으로 main connective 계산
※ 최종 False인 경우도 있음 -> Tautology가 아님 & Logically necessary도 아님
Tautology vs. Logical Necessity
Tautology
- Truth table에서 main connective가 모두 T인 경우
※ 어떤 tautology도 모두 logical necessary임
(문장의 논리적인 의미를 따질 필요 없음)
※ 그러나 모든 logical necessary가 tautology는 아님
ex) atomic sentence가 한 개인 예시 ex) a=a -> truth table 그리면 T와 F 결과가 나옴
※ atomic sentence의 의미를
- 따지지 않고 모든 경우 참 : tautology
- 따졌을 때 모든 경우 참 : logically necessary
Tarski's World에서 Tautology
TW-possible
- Truth table에서 main connective 값 중에 하나라도 T가 있음 (어떤)
TW-necessary
- Truth table에서 main connective 모든 값이 T (모든)
※ 아래 명제가 성립
- Tautology -> logically necessary -> TW-necessary
Logical Equivalence, Tautological Equivalence
Logically equivalent sentences
- 모든 가능한 환경 각각에 대해 동일한 truth value를 가지는 문장들을 말함
Tautological equivalent sentences
- Truth table에서 main connectives 값이 모두 같은 문장들
※ 모든 tautological equivalent sentences 는 logically equivalent
-> 역이 항상 성립하지는 않음
Joint Truth Table
- 두 문장 이상의 tautological equivalence 확인을 위해 truth table 에 작성
- 예를 들어 어떤 문장 S와 S’ 의 tautological equivalence 를 따질 때, S 와 S’ 사이에 세로선을 그어 구분
- Main connectives 의 값이 모두 동일하면 tautological equivalence
- S와 S’ 는 tautological equivalent (iff) joint truth table 에서 S와 S’의 최종값이 모두 동일
- S와 S’가 tautologically equivalent라면, 이 둘은 logically equivalent
- 어떤 문장이 logical equivalence라도 tautological equivalence가 아닐 수 있음
Tautological Consequence
- Truth-functional connectives 로 이루어진, 두 문장 P와 Q가 주어졌을때, Q가 P의 consequence인지 알아보고 싶다면 P와 Q에 대한 joint truth table을 그리면 됨 (tautological equivalence 따질 때와 유사)
- P와 Q에 대한 truth 값을 채우고 난 후, P가 true인 경우를 확인
- 만약 P가 참인 모든 경우에 대해서 Q도 참이라면, Q를 P에 대한 tautological consequence라고 함
- Tautological consequence 라면 logical consequence (역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음)
Truth table이 만능일까?
-> Atomic sentence 개수가 많아지면 테이블이 매우 커짐
-> Fitch에서 어떤 종류의 consequence인지 확인 가능 (Taut Con, FO Con, Ana Con)
Taut Con, FO Con, Ana Con
Taut Con
-Tautological consequence
-Truth table을 이용한 검증과 동일
-Boolean connectives의 연결 관계만 따짐
-predicate의 의미는 따지지 않음
FO Con
-First-order consequence
-a=c와 같은 문장의 의미를 안다고 가정 (다른 predicate의 의미는 따지지 않음)
Ana Con
-Analytic consequence
-Tarski's World의 대부분의 predicate의 의미를 안다고 가정
Valid Inference Steps
- Informal Proof에서 사용하는 유효한 증명 패턴
Conjunction elimination (simplification)
- P ∧ Q 문장이 주어지면, conjunction의 의미에 따라서 P 와 Q 문장 각각이 모두 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음
Conjunction introduction
- 위의 역으로 ∧ 의 의미에 따라서, P와 Q 문장으로부터 P ∧Q 문장이 logical consequence 임
Disjunction introduction (addition)
- 어떤 문장 P가 참이라는 사실을 증명하였다면, P에 어떤 disjunction을 연결한 문장도 참이 됨. 즉 P ∨Q 도 참이 됨
Proof by Cases (=Disjunction Elimination)
-Formal proof에서는 disjunction elimination이라고도 부름
※ 증명 패턴
- 어떤 문장 S가 전제 P ∨ Q 로부터 logical consequence라는 사실을 증명 할 때,
- P가 참인 경우에 S가 참인 경우를 보이고
- Q가 참인 경우에 S가 참인 경우를 보임
Proof by Contradiction (=Negation Introduction)
-Formal proof에서 negation introduction으로 부름
※ 증명 방법
어떻게 이게 증명이 됨?
Contradiction Symbol ⊥
- 결론이 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점을 의미
- Contradiction, the absurd, the false 등으로 읽음
'학교 수업 > 1학년 1학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개론] 컴퓨터의 역사와 구성 (0) | 2024.11.20 |
---|---|
[논리학] 6. Formal Proofs and Boolean Logic (0) | 2024.11.18 |
[논리학] 3. The Boolean Connectives (2) | 2024.11.18 |
[논리학] 2. The Logic of Atomic Sentences (0) | 2024.11.18 |
[논리학] 1. Atomic Sentences (0) | 2024.11.18 |